김준수의 식물성 세계
2020-01-14
김준수의 작업실에 들어선 순간 ‘초록’에 물들었다. 작가의 실내 가드닝은, 특별한 도구 없이 오로지 손에 의한 힘의 강약만으로 재료를 느끼며 형태를 완성해내는 ‘기(vessel)’ 작업과 결이 같다. 한 줄 한 줄 가죽을 켜켜이 쌓아올려 완성하는 ‘느린 작업’은, 씨앗에서부터 발아해 수백 년을 사는…
Read more2020-01-14
Tag
김준수의 작업실에 들어선 순간 ‘초록’에 물들었다. 작가의 실내 가드닝은, 특별한 도구 없이 오로지 손에 의한 힘의 강약만으로 재료를 느끼며 형태를 완성해내는 ‘기(vessel)’ 작업과 결이 같다. 한 줄 한 줄 가죽을 켜켜이 쌓아올려 완성하는 ‘느린 작업’은, 씨앗에서부터 발아해 수백 년을 사는…
Read more누군가의 손을 잠시 스쳐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오래 머물수 있도록, 멀쩡해도 쉬이 사물을 버리는 요즘 사람들에게, 낡아도 쉽게 버리지 못할 소중한 물건으로 만들어 전달하려는 사람. 김태연 작가는 그 옛날 “나무 표피를 쪼개 실을 잣고 직물을 짰듯”, 쉽게 쓰이고 버려지는 비닐봉투로…
Read more“손상우에게 안개는 자연의 이미지를 넘어선 정신세계이다. 사람의 관계에서 부딪치는 소통의 부재, 정신적 교감, 기억 등과 연결된 저장소이다. 그는 저장된 시간과 공간을 현실로 이동시켜 소반과 테이블, 벤치의 형상으로 드러낸다.” Think inside the fog & square 2019년 개인전 <fog & square>를 통해…
Read more“그래서 그것이 무엇이 될 것인가.” 2019 공예트렌드페어를 관통하는 질문이다. 우리 삶의 맥락에서 사물과 공간으로 매개되는 공예는 시대 흐름을 비추는 거울이다. 급변하는 세상의 시간 속에서 ‘오늘’은 곧장 과거로 밀려난다. 사람들은 고도의 기술과 온라인으로 빠르게 생산되는 ‘그저 아름답기만 한 사물’에 다소 피로를 느끼는 것도…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