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을 넘어 아시아 미술의 주요 도시로 급성장한 '부산'. 국제갤러리가 제2의 거점으로 선택한 부산은, 올해 6만 관객이 운집하며 '젊은 기획력'으로 주목받은 <아트부산>과 국제적 규모의 격년제 현대미술제인 <부산비엔날레> 등 유의미한 미술 행사들이 개최되는 도시이다. 해외 대형 갤러리들이 글로벌 진출 전략의 일환으로 전세계 곳곳에 분점을 개관하는 추세와는 달리 국내 활동만을 고수해왔던 국제갤러리는 왜 '부산'을 선택했을까?

부산 수영구 망미동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F1963에 입점한 국제갤러리 부산점 설치 전경
답은, 부산만의 국제성과 지역성에 있다. 1982년 개관한 이래 최초의 분점을 낸 국제갤러리 이현숙 회장은 “그간 아트 부산 등의 경험을 통해 한국미술에 대한 지역의 열의와 노력을 목격했다. 부산도 고유한 에너지를 바탕으로 한국미술의 또 다른 국면과 발전을 보여주는 아시아 미술의 주요 도시로 자리잡을 것이라 기대하며, 국제갤러리가 이에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2014년부터 매년 상반기 <아트 부산> 참가, 하반기에는 <대구 아트페어>에 참가하는 등 영남 지역에서 꾸준히 국내외 유명 작가들과 작품을 소개해온 국제갤러리는, 앞으로 부산점만의 공간 특성을 고려해 동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국내외 소속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부산에서 새로운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아트바젤 홍콩 선정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송보영 이사가 학예실을 총괄하고 있는 국제갤러리는 전세계 유명 아트페어 등의 행사에 꾸준히 참가하며 국내외 작가들을 소개하는 가교 역할을 해왔다.
국제갤러리 부산점이 입점한 F1963은 2014년 <부산비엔날레 특별전> 전시 공간으로 사용된 계기로 2016년에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지난 1963년부터 고려제강 와이어 생산공장으로, 2008년부터는 창고로 사용하던 공간을 예술을 매개로 '재생'한 것이다. 연간 1백만 명 이상이 찾는 부산의 주요 명소가 된 대중적인 복합문화예술공간인 F1963에 입점한 국제갤러리는 해당 지역의 미술 애호가들은 물론 지역 시민과 더욱 가까워지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8월 24일 개관한 국제갤러리 부산점은 새로운 거점을 열며 그동안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세계적인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국내 작가로는 이우환의 1979년작 <From Line (No. 790105)>, 권영우의 1986년작 <Untitled>, 박서보와 하종현 작가의 최신작 등 단색화 거장의 작품부터 문성식의 대형 페인팅 <밤>, 한 땀 한 땀 공들인 자수로 탄생한 함경아의 2015-2016년 자수 회화 연작, 그리고 최근 쾰른 루트비히 미술관에서 성공적으로 회고전을 마친 양혜규의 광원조각 <우주 조가비의 제물낚시질(Fly Fishing Cosmic Seashells)>과 인조 짚풀로 엮은 <중간 유형> 연작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해외 작가로는 아니쉬 카푸어의 오목한 형태의 거울 신작 <Random Triangle Mirror>와 <Mirror>, 지난 5 월 국제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미국 출신의 현대미술가 로니 혼의 연두색 계통의 유리 주조 조각, 최근 국내 네 번째 개인전을 개최한 현대 사진의 지평을 넓혀온 세계적인 작가 칸디다 회퍼의 <Pavlovsk Palace Pavlovsk IX 2014>, 스위스 출신의 작가 우고 론디노네의 신작 <the none>, <blue red orange yellow green mountain>, 지난 봄 F1963 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줄리안 오피의 <Estate Agent.>, 미국 출신의 세계적인 비디오 예술의 거장 빌 비올라의 <Chris>, 그리고 올해 광주 비엔날레에 참가하는 바이런 킴의 매주 일요일 하늘을 담은 대표 연작 <Sunday Painting> 5 점 등을 소개한다. 국제갤러리 부산점은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우고 론디노네 <the none>, 2018. Acrylic on wood; glass panel. 200.7 x 113 x 5.1 cm. Courtesy of artist and Kukje Gallery
글_ 장남미 (<아트마인> 콘텐츠 디렉터)
사진_ 박동석 대표(스튜디오 정비소) /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매거진 <아트마인>에 게재된 기사의 모든 사진과 텍스트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아트마이닝㈜의 저작물입니다.
사전 동의 및 출처 표기 없는 무단 복제 및 전재를 금합니다.
작품 이미지 © 국제갤러리 – ARTMINING, SEOUL, 2018
PHOTO © ARTMINING – magazine ARTMINE / 국제갤러리